리루
1. CPU Scheduler - nonpreemptive step : running->waiting, terminate (나로 인해서 발생) - preemptive step : running->ready, waiting->ready (나보다는 다른 작업에 의해서 발생) 1-1) Dispatcher - 선택된 프로세스에 CPU의 제어권을 준다. - Dispatch latency : 한 프로세스를 멈추고 다음 프로세스를 실행할때 까지의 시간 - Context switching 포함- Switching to user mode- jumping to the proper location in the user program to restart the program 1-2) Scheduling Goal - All s..
http://m.blog.naver.com/ansdbtls4067/220886661657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1. Parity bit란 - 패리티 비트는 시리얼 통신에서 송수신 되는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일종의 오류식별자이다. - 정보의 전달 과정에서 오류가 생겼는지를 검사기 위해 추가된 비트이다. -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끝에 한 비트를 더하여 전송하는 방법으로 2가지 종류의 패리티 비트(홀수,짝수)가 있다. - 패리티 비트는 오류 검출 부호에서 가장 간단한 형태로 쓰인다. - 위 그림과 같이 실제 전..
[참조] http://hyeonstorage.tistory.com/265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1. Hash - 해시를 보기에 앞서 대표적인 자료구조의 배열과 리스트를 본다. - 배열의 경우에는 인덱스를 이용하여 자료의 검색이 한번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빠른 검색 속도를 보이는 반면 데이터의 삽입, 삭제 시 많은 데이터가 밀리거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. - 연결 리스트의 경우에는 삽입, 삭제 시 인근 노드들의 참조값만 수정해줌으로써 빠른 처리가 가능하다. 단 처음과 마지막 노드 이외의 위치에서 데..